Welcome to the Aviation Insight!

Aviation Insight is your go-to source for the latest aviation news and in-depth knowledge

분류 전체보기 134

시계상의 양호한 기상상태

고도공역비행시정구름으로부터의 거리10,000ft MSL 이상B, C, D, E, F, G등급 8,000m수평 1,500m, 수직 300m3,000ft MSL 또는 장애물 상공 1,000ft 중 높은 고도 초과 ~ 10,000ft MSL 미만 B, C, D, E, F, G등급 5,000m수평 1,500m, 수직 300m3,000ft MSL 또는 장애물 상공 1,000ft 중 높은 고도 이하B, C, D, E 등급5,000m수평 1,500m, 수직 300mF, G 등급5,000m지표면 육안 식별 및 구름을 피할 수 있는 거리다음의 경우 3,000ft MSL 또는 장애물 상공 1,000ft 중 높은 고도 이하 중 F, G등급 공역의 비행시정을 1,500m 까지 적용할 수 있다.우세시정 하에서 다른 항공기나 장..

시계비행의 금지

시계비행방식으로 비행하는 항공기는 해당 비행장의 운고가 450미터(1,500피트)미만 또는 지상시정이 5Km미만인 경우에는 관제권 안의 비행장에서 이륙 또는 착륙을 하거나 관제권 안으로 진입할 수 없다. 단, 관할 항공교통관제기관의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기상상태에 관계없이 계기비행방식에 따라 비행해야 하는 경우(단, 허가 받은 경우 제외)평균해면(MSL)으로부터 6,100m(20,000ft)를 초과하는 고도로 비행하는 경우천음속 또는 초음속으로 비행하는 경우 천음속이란? 물체 주위의 흐름 속에 음속 이하 부분과 음속 이상 부분이 공존할 때의 물체 속도항공기를 운항하려는 사람은 300m(1,000ft) 수직분리최저치가 적용되는 8,850m(29,000ft)이상 12,500m(41,000ft)..

비행장 또는 그 주변에서의 비행

비행장 또는 그 주변에서의 비행하는 항공기의 조종사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야 한다.이륙하려는 항공기는 안전고도 미만의 고도 또는 안전속도 미만의 속도에서 선회하지 말 것해당 비행장의 이륙기상최저치 미만의 기상상태에서는 이륙하지 말 것해당 비행장의 시계비행 착륙기상최저치 미만의 기상상태에서는 시계비행방식으로 착륙을 시도하지 말 것터빈발동기를 장착한 이륙항공기는 지표 또는 수면으로부터 450미터 (1,500피트)의 고도까지 가능한 신속히 상승할 것. 다만, 소음 감소를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달리 비행방법을 정한 경우에는 그러지 않다.해당 비행장을 관할하는 항공교통관제기관과 무선통신을 유지할 것비행로, 교통장주, 그 밖에 해당 비행장에 대하여 정해진 비행 방식 및 절차에 따를 것다른 항공기 다음에 이륙..

최근 비행경험

항공운송사업, 항공기사용사업 또는 국외운항항공기에 해당하는 항공기를 운항하려고 하거나 계기비행, 야간비행 또는 조종교육 업무에 종사하려는 운항승무원은 다음과 같은 비행경험이 있어야 한다.  조종하고자 하는 날부터 계산하여 그 이전 90일까지의 사이에 조종하려는 항공기와 같은 형식의 항공기에 탑승하여 이륙 및 착륙을 각각 3회 이상 행한 비행경험이 있어야 한다.야간에 운항업무에 종사하고자 하는 경우 1번의 비행경험 중 적어도 야간에 1회의 이륙 및 착륙을 행한 비행경험이 있어야 한다.계기비행을 하려는 날부터 계산하여 그 이전 6개월까지의 사이에 6회 이상의 계기접근과 6시간 이상의 계기비행(모의계기비행을 포함)을 한 경험이 있어야 한다.조종교육을 하려는 날부터 계산하여 그 이전 1년까지의 사이에 10시간 ..

필수계기 + 항공기 야간 조명설비

필수계기비행구분계기수량항공운송사업용항공운송사업용 외시계비행방식나침반11시계11고도계(P.A) 1속도계11정밀기압고도계(Sensitive P.A)11계기비행방식나침반11시계11고도계 1속도계11정밀기압고도계21선회 및 경사지시계(T&S/I)11인공수평자세지시계(A/I)11자이로식 기수방향지시계(H/I)11외기온도계11승강계11자이로식 계기에는 전원의 공급상태를 표시하는 수단이 있어야 한다.고도를 지시하는 3개의 바늘로 된 고도계와 드럼형 지시고도계는 정밀기압고도계의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다.선회 및 경사지시계, 인공수평자세지시계, 자이로식 기수방향지시계의 요건은 결합 또는 통합된 비행지시계(FD)로 충족될 수 있다. 다만, 동시에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계기에는 안전장치가 내장되어야 한다.계기비..

구급용구

구분상황품목수량항공운송사업+항공사용사업그 밖육상1. 착륙에 접합한 해안으로부터 93km(50nm)이상의 해상을 비행하는 다음의 경우1) 쌍발 비행기가 임계발동기가 작동하지 않아도 최저안전고도 이상으로 비행하여 교체비행장에 착륙할 수 있는 경우2) 3발 이상의 비행기가 2개의 발동기가 작동하지 않아도 항로상 교체비행장에 착륙할 수 있는 경우 구명동의 또는 이에 상당하는 개인 부양 장비탑승자 1명 당 1개 2. 1번 외의 육상단발비행기가 해안으로부터 활공거리를 벗어난 해상을 비행하는 경우구명동의 또는 이에 상당하는 개인 부양 장비탑승자 1명 당 1개 3. 이륙경로나 착륙접근경로가 수상에서의 사고 시에 착수가 예상되는 경우구명동의 또는 이에 상당하는 개인 부양 장비탑승자 1명 당 1개  해상1. 비상착륙에 적..

의무 무선 설비+사고 예방 장치

항공기에 설치/운용해야 하는 무선설비단,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 외의 항공기가 시계비행방식에 의한 비행을 하는 경우 3~6번은 설치/운용하지 않을 수 있다. VHF 또는 UHF 무선전화 송수신기 각 2대. 각 호의 성능이 있어야 한다.관제를 목적으로 한 양방향통신이 가능할 것비행 중 계속하여 기상정보를 수신할 수 있을 것운항 중 항공기국과 항공국 간 또는 항공국과 항공기국 간 양방향통신이 가능할 것항공비상주파수(121.5MHz 또는 243.0MHz)를 사용하여 항공교통관제기관과 통신이 가능 할 것무선전화 송수신기 각 2대 중 각 1대가 고장이 나더라도 나머지 각 1대는 고장나지 않도록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 할 것기압고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2차 감시 항공교통관제 레이더용 트랜스폰더(Mode 3..

항공기내 소화기 및 메가폰, FAK, UPK, EMK, 도끼 수량

소화기승객 좌석 수수량6석부터 30석까지131석부터 60석까지261석부터 200석까지3201석부터 300석까지4301석부터 400석까지5401석부터 500석까지6501석부터 600석까지7601석 이상8 메가폰승객 좌석 수수량61석부터 99석까지1100석부터 199석까지2200석이상3 FAK(First Aid Kit, 구급의료용품)승객 좌석 수수량100석이하 1101석부터 200석까지 2201석부터 300석까지3301석부터 400석까지4401석부터 500석까지5501석 이상6UPK(Universal Precaution Kit, 구급의료용품)감염병 위기 경보 수준이 '심각'단계 인경우, 1set을 추가 탑재승객 좌석 수수량250석 이하1251석부터 500석2500석 이상3 EMK(Emergency Medic..

항공안전법, 항공보안법 벌칙+행정처분 기준

항공안전법(제 140조_항공상 위험 발생 등의 죄) 비행장, 이착륙장, 공항시설 또는 항행안전시설을 파손하거나 그 밖의 방법으로 항공상의 위험을 발생시킨 사람10년 이하의 징역(제143조_기장의 항공기 이탈죄) 제 62조제 4항을 위반하여 항공기를 떠난 기장5년 이하의 징역(제 144조_감항증명을 받지 아니한 항공기 사용 등의 죄) 감항증명 또는 소음기준적합증명을 받지 아니하거나 취소, 정지된 항공기를 운항한 자+기술표준품형식승인을 받지 아니한 기술표준품을 제작/판매/사용 한자 + 승인 받지 아니한 부품을 제작/판매/사용한 자3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제 146조_주류등의 섭취/사용 등의 죄) 주류등을 섭취하거나 사용한 항공종사자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제 148조_..

250210_에비에이션 뉴스 콜렉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2921425?sid=101 대한항공 飛上, 세계 최고 '항공사 1위'대한항공이 올해의 대형항공사(FSC·Full Service Carrier)로 선정됐다.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호주 항공 안전 및 제품 평가 기관 에어라인레이팅스(AirlineRatings)가 공식 발표한n.news.naver.com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07000802 '통합' 대한항공·LCC 점유율 70% 육박….운임 인상 우려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으로 '통합 대한항공'과 '통합 진에어'가 탄생하면서 한진그룹이 국내 항공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

📰aviation NEWS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