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come to the Aviation Insight!

Aviation Insight is your go-to source for the latest aviation news and in-depth knowledge

📚aviation Knowledge/Air Traffic Control and Management

항공교통업무 공역

FLYCHOI 2025. 2. 1. 23:54

항공교통업무 공역

  • 공역의 구분
    •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
      1. 비행정보구역
      2. 관제공역
        • 관제권
        • 관제구
        • 비행장교통구역
      3. 비관제공역
        • 조언구역
        • 정보구역
      4. 통제공역
        • 비행금지구역
        • 비행제한구역
        • 초경량비행장치 비행제한구역
      5. 주의공역
        • 훈련구역: 민간항공기 훈련
        • 위험구역: 항공기 또는 지상시설물에 대한 위험이 예상되는 공역
        • 군작전구역: VFR 군작전 공역은 5SM, 3000FT이상에서 수행됨. IFR간격분리 받을수 있다면 MOA를 통과 가능
        • 경계구역:대규모 조종사 훈련, 비정상 비행활동
      6. 방공식별구역(KADIZ)
        • KADIZ내에 출입하는 모든 항적은 영공방위를 위해 반드시 식별되야함
        • 비행계획서 제출된 항공기 제외 모든 항공기의 KADIZ 진입 이탈은 최소 24시간전에 합참의장의 승인을 받아야됨. 단 긴급인 경우 공군작전사령부에서 선조치후보고 가능
      7. 한국제한식별구역(KOREA LIMITED IDENTIFICATION ZONE)
        • KADIZ내에 항공기에 대한 효율적인 식별을 도모하고 평시 민군용항공기의 자유로운 비행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설정된 공역 
        • 이 구역내에서 비행을 시작하여 구역 이탈하지 않고 종료하면 우군용 항공기로 식별
      8. Warning area(미국)
        • 미국의 해안선 3마일 바깥에서부터 외부로 확장되는 지정된 공간
        • 잠재적 위험을 경고하기 위한 구역
        • W라는 철자와 숫자로 표시됨
    • 제공업무에 따른 분류
      1. A
      2. B
      3. C
      4. D
      5. E
      6. G
    • 공역설정기준
      1. 국가안전보장과 항공안전을 고려할 것
      2. 항공교통에 관한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고려 할 것
      3. 이용자의 편의에 적합하게 공역을 구분할 것
      4. 공역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 공역 지정 내용의 공고는 항공정보간행물 또는 항공고시보(NOTAM)에 따른다

'📚aviation Knowledge > Air Traffic Control and Manage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교통관제 구성(2)  (0) 2025.02.02
항공교통관제 구성(1)  (1) 2025.02.02
조종사 READBACK  (0) 2025.01.31
RVSM & TAWS  (0) 2025.01.31
TCAS RA  (0) 2025.01.31